2014년도 기사실기시험 제 1회 정보처리산업기사
*다음 물음에 답을 해당 답란에 답하여 주십시오. (배점 : 100)
[ 알고리즘 - 배점 : 30 ] <문제> 다음은 4행 4열의 배열에 다음과 같이 숫자를 기억시키는 알고리즘이다.

<처리조건> 사용되는 변수는 다음과 같다. - HEY(4, 4) : 4행 4열의 2차원 배열 - N : 1씩 증가되는 숫자가 저장될 변수, 즉 N은 1, 2, 3, ..., 25까지 차례로 변경 - R : 배열의 행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 - C : 배열의 열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 - SW : 행과 열의 증가 혹은 감소 여부가 지정될 변수, 즉 SW가 -1이면 행이나 열이 감소하고, 1이면 행이나 열이 증가함 - ROT : 1회전에서 수행할 수행 횟수가 지정될 변수
 <답항보기>
 ※ <답항보기>는 일부 복원되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 배점 : 30 ] *해당과목은 문제복원이 되지 않았습니다. 정답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합니다.
1. 접수종류 문제 지문 중 키워드
2. JOIN 공통속성을 중심으로 2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관계 연산으로서 연산자 기호는 ⋈를 사용한다.
3. Natural Natural Join : 동등 조인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릴레이션에서 중복된 속성이 제거되도록 수행되는 조인연산을 말한다. 즉, 동등 조인에서 중복 속성 중 하나가 제거된 것이다.
4. Select Select 연산은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들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들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든다. 릴레이션의 행에 해당하는 튜플을 구하는 것이므로 수평 연산이라고도 한다. Select연산의 기호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𝞼) 이다.
5. π고객명(결과 A) 문제 지문 중 키워드
[ 업무프로세스 - 배점 : 20 ] *해당과목은 문제복원이 되지 않았습니다. 정답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합니다.
1.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조직내의 인적자원들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정보 시스템이다. 인적 자원이 소유하고 있는 비정형 데이터인 지적자산을 기업 내에 축적·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2. CKO (Chief Knowledge Officer) 조직내 지식경영과 지식관리를 총지휘하는 고급임원을 말한다. 기존의 CIO(최고기술담당임원)보다 더 전문적이고 한 단계 높은 위치라고 보면 된다. 유수 기업일수록 CKO의 역할이 확대되고 막중해지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다. CKO의 역할은 조직 내부 구성원들이 보유한 전문지식을 발굴해 효과적인 활용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 지식경영을 위한 지식공유시스템 기반 구축, 사내 지식활용을 위한 지식문화 조성 등의 업무를 총괄지휘한다. CKO는 또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서부터 어떤 종류의 지식이 조직의 경쟁우위 강화에 필요한지 등을 결정하는 일도 한다.
3. EDMS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다양한 형태의 문서와 자료를 그 작성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일관성 있게 전자적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EDMS를 통해 신속한 문서조회, 검색 및 활용 등을 통한 업무효율의 극대화와 획기적인 종이문서 보관장소의 절감으로 쾌적한 사무환경 조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자료집계 및 대장관리의 자동화로 인해 각종 전자문서의 등록, 저장, 관리, 송수신, 조회 등을 지원하고, 업무환경 개선과 조건 검색에 의한 필요 문서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다.
4. CoP (Community of Practice, 실행공동체) 동일한 관심사와 일련의 주제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고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그 분야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보다 싶이 있는 것으로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간단히 실행공동체를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일을 배우고 익히는 모임이라고 볼 수 있다.
5. SWOT 기업의 환경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인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즉, 어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을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 신기술동향 - 배점 : 10 ] *해당과목은 문제복원이 되지 않았습니다. 정답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합니다.
1. Phablet (패블릿) 폰(Phone)과 태블릿(Tablet)의 합성어로, 5인치 이상의 대화면 스마트폰. 대화면 스마트폰은 동영상 시청과 웹 브라우징, 가독성 측면에서 우월하므로 한번 대화면 기기를 사용해보면 작은 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이른바 '톱니 효과(Ratchet Effect)'가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프리미엄 제품이다.
2. TEIN (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유라시아 초고속 정보통신망 사업) TEIN 사업은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 연구·교육망을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전자상거래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 신소재 등 첨단 분야를 공동 연구하는 것은 물론, 관련 기술을 상용망에 적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 두 대륙 국가의 경제 발전과 교류를 이루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 인터넷은 통신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정보가 대부분 미국을 통해 유럽으로 전송되므로 실시간 멀티미디어 정보가 전송되어야하는 첨단기술연구에는 부적절하나, 양 대륙을 직접 연결하는 초고속연구전용망이 구성되면, 첨단 인터넷기술을 적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실시간 송수신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기술연구가 가능해진다.
3. M2M (Machine-To-Machine) 기계 대 기계의 관계. 지금까지는 소비자들이 컴퓨터나 PDA 등 여러 디바이스들을 직접 사용하는 사람 대 기계 관계가 대부분이지만, 홈네트워킹 시대가 열리고 무선 인터넷이 더욱 확장되면서 모든 가전에 아날로그 칩이 들어가 컴퓨터와 컴퓨터가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시대로 변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4. Cresumer 크리에이티브(creative; 창조적인)와 컨슈머(consumer; 소비자)의 합성어로, 소비를 통해 욕구를 충족하는 수준을 넘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창조적인 소비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구매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제품에 대한 피드백은 물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한다. 기업의 입장에서 크리슈머는 소비자의 니즈와 트렌드,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예가 많다. 기업은 이들에게 신제품개발이나 디자인, 판매, 서비스, 마케팅 등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줌으로써 이를 통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경쟁력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소비자와 소통하고 소비자의 요구를 제품에 반영한다는 이미지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크리슈머를 활용한 마케팅을 펴기도 한다.
5. 3D Printing (3차원 인쇄) 디지털화된 디자인 데이터를 활용해 인쇄를 하듯 물체를 만들어 내는 방식. 디지털 설계도만 있으면 제품 생산이 가능해 제조 공정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3D 프린팅은 재료를 자르거나 깎는 전통적인 절삭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 생산방식과 달리 3D 캐드(CAD)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디지털화된 3차원 제품 디자인을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재료를 분사한 후 경화 및 본딩 과정을 거쳐 한층씩 쌓아가면서 입체형 물건을 생산한다. 따라서 원재료 절감, 복제효과, 가격 및 사용 편리성 등에서 전통적 절삭가공 방식보다 우위에 있다.
[ 전산영어 - 배점 : 10 ] *해당과목은 문제복원이 되지 않았습니다. 정답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합니다. 1.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기업의 수행목적과 부합하는 조직, 프로세스, 기술이 최적화된 모델로 구성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기업 정보화의 체계적인 계획수립이 요구에 따라 제시된 개념이다. ISP는 기업의 방향과 정보 기술의 방향을 통합하여 조직의 비전을 지원하고 정보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전략을 정의한다. 또한 다양한 조직단위에 의해 정보가 공유 가능한 통합된 정보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2. ( ) consist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ndicates who the site's host is. For example, in the multiprocessing www.berkeley.edu, berkeley.edu is the ( ) and www is the host. The three-letter suffix in the ( )(such as .com or .edu) is called the top-level domain(TLD).
3. E-Mail 전자우편이란 편지를 전자적으로 보낸다는 뜻인데, 컴퓨터 메일(computer mail)이라고도 한다. 컴퓨터로 편지를 보낸다는 것은 워드프로세서로 문서를 작성한 뒤 컴퓨터 통신 서비스회사에게 전화로 접속해 그 문서를 다른 사람에게 보낸다는 의미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가 있어야 하며 전화선과 컴퓨터를 연결해 주는 모뎀이라는 장치도 필요하다. 종이 편지와 달리 컴퓨터 편지는 거리에 관계없이 즉시 배달된다. 그러면서도 전화처럼 양쪽이 동시에 시간을 낼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4. Modem (변조 복조 장치) 아날로그 신호의 통신 회선인 전화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통신 장비와 통신할 때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고 하고, 그 반대의 경우를 복조(demodulation)라고 한다. 모뎀을 변복조기 혹은 변복조 장치라고 하는데, 변조기와 복조기의 합성어이며 MODEM이란 명칭도 같은 의미이다.
5. ( ) is a terminal emulation program for TCP/IP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The ( ) program runs on your computer and connects your PC to a server on the network. You can then enter commands through the ( ) program and they will be executed as if you were entering them directly on the server console. The start a ( ) session, you must log in to a server by entering a valid user name and password. ( ) is a common way to remotely control Web servers.
[해설] 2. ( Domain Name )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사이트의 호스트가 누구인지 알려준다. 예컨대 URL의 표시인, www.berkeley.edu 여기에서 berkeley.edu가 ( Domain Name )이고 www가 호스트이다. ( Domain Name )은 3자의 접미사 .com 이나 .edu처럼 되어있고 상위 레벨 도메인이라고 한다.
5. ( Telnet )은 인터넷과 같은 TCP/IP 네트워크를 위한 단말기 모방 프로그램이다. ( Telnet ) 프로그램은 PC에서 실행되어 PC를 네트워크상의 서버와 연결시켜 준다.( Telnet )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 콘솔에서 직접 입력한 것과 같이 실행된다. ( Telnet ) 세션을 시작하려면 반드시 유효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해야 한다. ( Telnet )은 웹 서버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식이다.
[ 정 답 ]

안녕하세요? 기사친구 입니다.
2014년 제1회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기출문제 입니다.
실기시험은 문제공개가 되지 않는 관계로 100% 복원이 되지 못한 점 양해바랍니다.
정보처리산업기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회원님 한 분 한 분의 합격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최종 합격하시는 순간까지 기사친구가 언제나 함께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